<비됴클래스 하줜의 유튜브 동영상 편집 with 프리미어 프로> 서평

크리에이터, 유투버 등 점점 사람들의 관심이 tv에서 개인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사실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이미 스마트폰으로 충분하다.

그런데 이렇게 동영상 촬영하고 나서 효과도 집어 넣고, 자막도 넣고 유튜브에도 업로드하여 인기를 끌고 싶은데 방법을 모른다. 그렇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 같다.


20일 완성이라는 목표를 갖고, 쉽고 빠르게 이 책을 보면서 따라하면 나도 잘할 수 있을 것 같다.

프리미어 프로 프로그램 설치 부터 각 각의 필요한 기능별로 책에 나와 있는대로 확인 할 수 있다.

게다가 무료 예제 프로그램도 한빛미디어에 가서 다운로드 받아서 확인 가능하다.

( https://www.hanbit.co.kr/src/10134 )


각 각 챕터별로 배우기 전에 도입부에 목표 설정, 용어 설명 등의 필수 지식과 카메라는 어떻게 선택하는게 좋을지 나온다. 렌즈모델 이나 구도, 조명에 대해서 알아 본 다음에 진도를 진행한다.


좀더 상세하게 일자별로 작성된 학습 전략을 보면 편집 시작, 자막 삽입과 개체 조정, 오디오 음량 조절, 장면 전환 효과,  동영상 내보내기, 애니메이션과 키프레임, 점점 커지고 작아지는 영상, 4분할 화면 , 그림 파일 삽입, 컬러 매트, 간단한촬영으로 전환 효과 연출, 슬로우(패스트)모션, 다양한 디자인 자막 만들기, 영상 색감 바꾸기, 세로 영상, 외부 영상 소스, 마스크 활용, 특수 오디오 효과, 외부 플러그인, 크로마키 효과, 예능 자막 만들기 순서로 되어 있다.




안드로이드 개발에 관심을 가졌지만 주저하고 있다가,

기존의 java가 아닌 구글의 새로운 개발 언어인 코틀린으로 진행해보고자 알게 된 도서

<오준석의 안드로이드 생존 코딩 - 코틀린편>


책의 목차부터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책의 소개부터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한 눈에 알아보기 쉬웠습니다. 표지에 나와있는 것 처럼 9가지의 실용 앱개발을 통한 단순한 책 내용의 이론이 아닌 실전 예제를 통한 배움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사실 실제로 모든 안드로이드 개발 스펙을 다 배운다기 보단 이렇게 접근하면 필요하면 인터넷을 통해 찾아보면서 기능을 더하고 공부하게 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1~4장 까지는 앱 개발 기초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기기 or 애뮬레이터 준비, 반가운 헬로월드 찍기, 코틀린의 기본 문법)을 배우고, 5장부터 13장 까지는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시작해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 스토어에 앱 등록하기도 있습니다.


좀 더 상세하게 보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부터 많은 화면 캡쳐 정보와 각 단계별 셋팅에서 어떤 옵션을 할지 등에 대해 친절하게 나와 있습니다. 중간중간에 실제 실행시 에러에 대한 트러블 슈팅도 도움이 되었구요.

실행시 ide의 기능별 메뉴도 설명도 있지만, 실제로 뭘 자주 쓰는지에 대해도 써주어서 눈길이 갑니다.


코틀린에 대해서 설명할 때는 아무래도 코틀린 문법 위주의 책이 아니다보니 기본적인 정보에 대해서만 전달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좀 더 많이 공부하기 원하면 별도의 책이나 자료등을 통해 코틀린을 공부해야할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 앱개발 부분에서는 전체 앱에 대한 설명과 주로 어떤 구성요소를 사용해 개발할것인지, 라이브러리설정등에 대해서 표시하고, 또한 낮은 난이도의 앱부터 서서히 높은 레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챕터 마다 마무리에 다시한번 뭘 갖고 개발했고, 기억해두어야 하는부분을 설명하여 이해를 도왔습니다.


전체 필요한 소스는 한빛미디어 사이트에서도 github에서도 가져와서 해볼 수 있기때문에 오타나 오류가 발생해도 차분하게 찾아보거나 문의해보면서 해볼 수 있습니다.



http://www.hanbit.co.kr/store/books/look.php?p_code=B6910482773



문제:

binary gap within a positive integer N is any maximal sequence of consecutive zeros that is surrounded by ones at both ends in the binary representation of N.

For example, number 9 has binary representation 1001 and contains a binary gap of length 2. The number 529 has binary representation 1000010001 and contains two binary gaps: one of length 4 and one of length 3. The number 20 has binary representation 10100 and contains one binary gap of length 1. The number 15 has binary representation 1111 and has no binary gaps.

Write a function: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that, given a positive integer N, returns the length of its longest binary gap. The function should return 0 if N doesn't contain a binary gap.

For example, given N = 1041 the function should return 5, because N has binary representation 10000010001 and so its longest binary gap is of length 5.

Assume that:

  • N is an integer within the range [1..2,147,483,647].

Complexity:

  • expected worst-case time complexity is O(log(N));
  • expected worst-case space complexity is O(1).
Copyright 2009–2016 by Codility Limited.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copying, publication or disclosure prohibited.


결과: https://codility.com/demo/results/trainingHWYAS7-MEK/


// you can also use imports, for example: // import java.util.*; // you can write to stdout for debugging purposes, e.g. // System.out.println("this is a debug message");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 write your code in Java SE 8 int max = 0; int cnt = 0; //int k=0; String result = ""; result = Integer.toBinaryString(N); for(int i=0; i < result.length(); i++) { //k++; if(result.charAt(i) == '0') { cnt++; //if( (result.length() == k ) && (cnt > max) ) { // max = cnt; //} } else { if(cnt > max) { max = cnt; } cnt = 0; } } return max; } }

문제:

https://codility.com/programmers/lessons/2-arrays/

Task description

A zero-indexed array A consisting of N integers is given. Rotation of the array means that each element is shifted right by one index, and the last element of the array is also moved to the first place.

For example, the rotation of array A = [3, 8, 9, 7, 6] is [6, 3, 8, 9, 7]. The goal is to rotate array A K times; that is, each element of A will be shifted to the right by K indexes.

Write a function: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K); }

that, given a zero-indexed array A consisting of N integers and an integer K, returns the array A rotated K times.

For example, given array A = [3, 8, 9, 7, 6] and K = 3, the function should return [9, 7, 6, 3, 8].

Assume that:

  • N and K are integers within the range [0..100];
  • each element of array A is an integer within the range [−1,000..1,000].

In your solution, focus on correctness. The performance of your solution will not be the focus of the assessment.

Copyright 2009–2016 by Codility Limited. All Rights Reserved.

결과: 


https://codility.com/demo/results/trainingM2FM5Q-6BC/


// you can also use imports, for example: // import java.util.*; // you can write to stdout for debugging purposes, e.g. // System.out.println("this is a debug message");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K) { // write your code in Java SE 8 int temp = 0; int cnt = K; if(A == null || A.length < 2 || K <= 0) { return A; } while( cnt > 0 ){ temp = A[A.length-1]; for(int i=A.length-1; i >0 ; i--) { A[i] = A[i-1]; } A[0] = temp; cnt--; } return A; } }

까먹을까봐 작성해둠.

목적: 리눅스 서버의 로그파일이나 불필요한 내역을 삭제하기 위해 방법 찾던중 많은 블로그에 글이 올라와있는

     리눅스에서 스케쥴링 설정 하는 crontab 설정하는 법을 참조해서 작성해봄.

순서:

1. 쉘 스크립트 작성한다. 시간대는 설정하는 법은 다른 블로그 글 참고.

0 5 * * * : 매일 5시 0분에 실행.

5 * * * * : 매시 5분이 될 때마다 실행. 즉, 한 시간 간격으로 실행.

* * * * * : 1분에 한 번씩 실행.

0 5 1 * * : 매달 1일 새벽 5시에 실행.

 

2. 쉘 파일 실행하려는데 권한이 없다는 등 메시지가 뜰때 잇다.

 그럴땐 권한 부여.

 권한 부여 : chmod 744 log_del.sh

실행도 되는지 체크하려면 :  ./log_del.sh

입력해본다.

 

3. 크론탭의 에디트 모드 실행한다.

 콘솔:  crontab -e

그러면 vi 에디트처럼 입력가능한 창이 된다.

 입력:   0 10 * * * /logs/jeus/log_del.sh

위와같이 입력해두고, wq 입력등록

 

4. 크롭탭이 정상 적용됫는지 확인은

콘솔: crontab -i

 

링크드리스트. 이것은 프로그래밍 해봤다는 사람은 한번씩은 들어봤을 겁니다. 

기본적인 자료구조이기에.. 또한 제가 가장 즐겨쓰는 구조인 만큼 아주 확실하게 알아봅시다.

일단 아래의 모양을 한번 봐 보세요.


class Node {

int Data;

Node Link;

Node(int d,Node l) {

Data = d;

Link = l;

}

}

와 같이 만들면 됩니다. 즉 Data 라는 실제로 쓰이는 변수와 함께 자기자신과 똑같은 형인

Link 라는 변수도 만들어서 어떤 부분을 가리키도록(point) 하는것이죠

꼭 이름을 Node 라고 할 필요는 없으며 LinkedNode 라 하든지 뭐 맘대로 해도 됩니다.

그리고 위의 클래스는 변수만 있을뿐 메소드(함수)는 없지만 뭐 넣어도 됩니다. Data 라는

변수를 하나만 쓰지 않고 int Data; String aaa; 뭐 이렇게 다른 자료형도 쭉 쓸 수

있습니다. 즉

class myNode {

int a;

int b;

String c;

Object d;

int put(int aa,int bb) {

// 이 부분에 각 경우에 따른 코드를 쓰면 되겠죠..

}

}

처럼 해도 된다는 말이죠. 어렵지 않죠?

자 그럼.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 만들어 봅시다.

// Simple.java

class ChainNode {

int Data;

ChainNode Link;

ChainNode(int d,ChainNode l) {

Data = d;

Link = l;

}

}

public class Simple { // 이곳에 main이 있으므로 파일이름은 Simple.java가 당연히 되겠죠?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inNode head = new ChainNode(0,null); // null은 가리키는 것이 없다는 뜻

// 그리고 head는 링크드리스트의 맨 처음부분이다.

ChainNode current = head; // current을 우선 head와 똑같다고 한다.그리고 current는 계속 바뀌게된다.

ChainNode temp; // 임의의 ChainNode 만든 것을 임시저장한다.

for ( int i=1; i<=10 ; i++ ) {

temp = new ChainNode(i,null); // 예를 들어 i가 1일때를 아무것도 가리키는 것이 없는 다만

// 1이라는 Data만 들어있는 걸 메모리상에 만들고(new했으니..) 그 걸 temp로 칭한다.

current.Link = temp; // current를 만들때 null값을 넣었지만 다른 부분을 링크

// 하도록 current.Link 에다가 방금 만든 temp를 넣어서 , 그 쪽을 가리키도록 한다.

current = temp; // 1부터 10까지 돌기때문에 current는 계속 바뀌게 된다.

}

// for문이 끝나면 여러개의 ChainNode가 링크되어서 그 흐름이 유지된다.

current = head; // 이제 처음(head)부터 print해서 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 current에 head를 넣어서 처음 위치로 이동시킨다.

while( current != null ) { // current에 아무값도 없을때까지 실행한다.

System.out.println(current.Data); // 맨 처음엔 head의 Data가 출력되고

current = current.Link; // current에다가 current가 가리키는 부분을 대입한다. 가장 중요!!

// 이 부분을 이해해야 합니다.

}

}

}

// 출력은 0부터 10까지 출력된다.

// 0은 head에 들어있었고, 1부터 10까지는 for문에서 만들었다.

가장 간단한 소스인만큼 꼭 확실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밑의 설명에서 리스트나 링크드 리스트나 거의 같은 뜻이로 봐도 됩니다.

리스트중에 링크드리스트가 있는 것이니..) 파란색문장은 위의 소스에 그대로 있다는 걸

표시합니다.

head 와 current 와 temp 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알아봅시다.

링크드리스트는 각각의 노드(여기선 ChainNode)들이 링크(여기선 Link)를 통하여

하나의 리스트가 되는 겁니다. 따라서 전체 리스트의 처음부분은 항상 존재해야 하므로

head 라는 걸 만듭니다. 그리고 일단 구성되어 있는 링크드리스트에 새로운 노드를

뒷부분에다 집어넣을 경우 새로운 노드를 일단 메모리상에 만듭니다. 아래와 같이

temp = new ChainNode(i,null); temp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리스트하고는 아무런

연결끈이 현재로서는 없고 단지 메모리상에 있을 뿐이기에 , 연결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리스트의 마지막노드(current)의 Link 에 temp를 넣어주면 됩니다.

즉 current.Link = temp; 이렇게.. 그러면 메모리상에 만든 temp가 리스트의 끝부분이

되기에 current = temp; 이와 같이 하면 current가 옮겨지게 되죠. 이렇게 하지말고

current = current.Link; 라고 해도 됩니다. 앞에서 먼저 current.Link = temp; 라고 했기에

당연히 되죠..됩니다. 확인해 봤어요!! 자 이렇게 해서 for 문을 분석했습니다. 즉 for 문은

링크드리스트에 데이터를 넣는(put) 역할을 하죠. 이젠 링크드리스트의 데이터를

한번 가져와(get)봅시다.

for 문이 끝난 상태에서는 current 는 링크드리스트의 맨 끝부분이기에 , 리스트의 첫

부분부터 데이터를 가져올려면 current = head; 함으로써 current를 링크드리스트의 첫

부분으로 하면 되겠죠? 계속 느꼈을텐데 current 는 줏대없이 계속 여기저기 이동되죠?

링크드리스트 특성상 이런 역할을 하는 ChainNode 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current 즉

우리말로 현재라는 뜻인데 , 여기저기 이동되므로 옮겨졌을 때, 링크드 리스트상에서

현재지점이 되는 의미에서 current 라고 쓴겁니다. 내키지 않으면 바꿔도 됩니다.

while ( current != null) <-- current 에 아무런 것도 있지 않을 때 즉 null 일때까지 돌게

되죠. 그럼 언제까지 돌까요? 링크드 리스트의 각 노드들은 Data 와 Link를 가지고 있죠?

Data 에는 뭐 진짜 데이터가 들어있게 되고, Link 에는 다음번 노드의 주소가 들어있죠?

그래야 링크 되고 또 링크되고 .. 해서 전체 리스트가 구성되니까요..하지만 맨 끝노드에는

어떻죠? 끝이니까 다음번 노드가 없죠? 따라서 맨 끝의 노드의 Link 에는 null 값이

들어있습니다. 실제로 Node를 만들 때 보통 temp = new ChainNode(i,null); 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null이 들어가게 하는 것이죠. 그 노드가 어떤 걸 가리킬려고 하면 그냥

current.Link = temp ;처럼 해서 Link 에 어떤노드의 주소를 넣어주면 되니까요.

System.out.println(current.Data); 해서 데이터를 출력하고

current = current.Link; 라고 해서

현재노드를 이동시켜 주는 것이죠. while 문이 끝날 때 까지 current 의 Data를 출력하고

current는 다음번 노드로 이동하고 ... 아시겠죠?

자 첫 번째 과제입니다. 위의 소스를 완벽히 이해했다면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반드시

소스를 보면서 만들지 말고 그냥 생각하면서 만드세요. 저는 자료구조 과제가 있는 주말은

집에서 10시간 이상 코드작성했습니다. 강의자료를 보고 만들면 쉽게 만들 수 있지만

나중에 돌이켜보면 자기것이 되지 못합니다. 기본 원리를 이해한후 참고용 소스 같은 것

보지말고 혼자 생각하면서 하나씩 하나씩 만들어 갔으니 당연히 시간을 많이 잡아 먹죠.

그러나 이런식으로 하면 개념이 정말 확실하게 잡히니까 여러분도 이렇게 하세요. 노력하지

않고 좋은 결과만 있길 바란다면 안되죠..

첫 번째 과제 : 링크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10부터 1까지(자연수) 들어있는 리스트를 만들고

(즉 앞의 제가 보여준 예제는 1부터 11까지 였는데 이 번엔 10부터 1까지 역순으로

들어있는 리스트이죠.) 그리고 리스트의 처음에서부터 그 값을 출력하는데 데이터에 7이

있는 노드를 만나면 거기 까지만 출력하도록 하시오. 즉 10 9 8 7 까지만 나오게 하라

라는 뜻입니다.

밑에는 해답을 올리죠. 하지만 절대 먼저 보지 마세요 . 이리저리 해 보고 난 후 보세요.

class ChainNode {

int Data;

ChainNode Link;

ChainNode(int d,ChainNode l) {

Data = d;

Link = l;

}

}


public class Si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inNode head = new ChainNode(10,null);

ChainNode current = head;

ChainNode temp;

for ( int i=9; i>=1 ; i-- ) {

temp = new ChainNode(i,null);

current.Link = temp;

current = current.Link;

}

current = head;

while( current != null ) {

if ( current.Data == 7 ) {

System.out.println(current.Data);

break;

}

else {

System.out.println(current.Data);

current = current.Link;

}

}

}

}

보라색으로 된 부분이 원래 소스에서 수정되거나 추가 된 겁니다. 큰수에서 작은 수로

내려가니까 당연히 for 문에 i-- 가 들어가는 것은 아시죠?

출력부분에 데이터가 7이면 그까지만 출력하는 것이니

if (current.Data == 7 ) 이렇게 해서 7인 경우에 대해 따로 만들면 되죠

println 써서 출력해 주고 break; 써서 while 문을 빠져 나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else 써서 똑같이 하면 되겠죠?

자 이제는 ChainNode에 메쏘드를 추가해서 만들어 봅시다. C 언어에서의 구조체와

C++에서의 클래스(Java도 마찬가지) 가 다른 점이 뭘까요? 가장 큰 다른 점은 데이터만

가질수 있느냐? 아니면 메쏘드(함수)까지 가질 수 있느냐 이죠?

좀 더 고급스럽게 고쳐봅시다. 훨씬 코드가 길어졌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니

빠짐없이 메쏘드 부분을 유심히 보세요. 앞으로 갈길이 먼데 기초가 단단해야죠?

아래의 예제는 1부터 10까지 각 숫자에 10배 한 값을 데이터로 가지는 노드가 서로

링크되어 있으며(이전에는 1부터 10까지의 수가 들어갔지만 이번엔 1*10 , 2*10 , ...

10*10 의 수가 들어간다는 뜻이죠) 링크드리스트의 맨 처음 노드에서 index 번째있는

노드의 데이터만을 프린트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이전엔 index번째노드까지 모두 출력하는

것이었죠? 10 9 8 7 이렇게..)

// 이번 예제는 head는 단지 맨처음노드를 가리키는 역할만 하는겁니다.

// 즉 head노드의 Data는 의미가 없고 단지 Link만이 의미가 있는것이죠 이때까지 예제와는

// 다르죠. 즉 head.Link 에 있는 주소가 진짜 첫번째 노드인것이죠.head는 단지 첫번째노드를 가리킬뿐..

// 뭐 이렇게 할수도 있다는 것이고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서 head의 Data에 진짜값을

// 넣을것인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해서 코딩하면 됩니다.

class ChainNode {

int Data;

ChainNode Link;

ChainNode(int d,ChainNode l) {

Data = d;

Link = l;

}

}

class LinkedList {

ChainNode head;

ChainNode current;

int size;

LinkedList() { // 생성자

head = new ChainNode(0,null);

current = new ChainNode(0,null);

size = 0;

// head.Link = current 부분이 없습니다. 즉 초기값으로 head는 아무것도 가리키지 않는다는 뜻이죠

}

boolean isEmpty() { // 링크드리스트가 비워있는지 체크.

if ( size == 0 )

return true; // size가 0 이면 true

else

return false; // 그렇지 않다면 false

}

int get(int index) { // index번째의 Data를 리턴한다.

if ( isEmpty() == true ) {

System.out.print("링크드리스트에 아무 값도 없어요 index =>");

return index;

}

else

if ( index > size || index < 1) {

System.out.print("index가 링크드리스트 size를 넘어서거나 1보다 작습니다. index=>");

return index;

}

else {

current = head.Link; // index번째로 갈려면 처음에서부터 index번 이동해야 하므로.

// head.Link가 실제 데이터가 있는 맨 처음 노드이므로

for ( int i = 1 ; i < index ; i++ ) {

current = current.Link; // index-1 번 옮겨지고

}

return current.Data; // 거기에 있는 값을 리턴

}

}

void put(int a) { // 새로운 노드를 링크드리스트의 마지막에 집어넣는다.

if ( isEmpty() == true) { // 아무것도 없을경우

ChainNode temp = new ChainNode(a,null);

current = temp;

head.Link = current; // 방금 만든 노드를 head가 가리키도록 한다.

}

else { // 이미 리스트에 노드가 있다면

while( current.Link != null ) {

current = current.Link; // current를 리스트의 맨 마지막으로 옮긴다.

}

ChainNode temp = new ChainNode(a,null); // a를 데이터로 가지는 temp노드를 만든후

current.Link = temp; // Link에 temp를 넣어줘서 리스트의 끝에 temp를 붙인다.

}

size++; // 추가했으니 당연히 size는 하나씩 증가

}

}

public class Si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nkedList List = new LinkedList();

for ( int i = 1 ; i <= 10 ; i++ ) {

List.put(i*10);

}

System.out.println(List.get(6));

System.out.println(List.get(11));

System.out.println(List.get(1));

System.out.println(List.get(0));

}

}


어떤가요? 뭔가 딱딱 구분되어 지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 이런 기능하는 것은 여기에

모아두고 .. 즉 모듈화가 잘 되어있죠? main 이 들이 있는 Simple class는 아주 간단하죠?

제가 봐도 만족스럽습니다. 사실 수업 레포트 낸 것은 이렇게 만들지 않았거든요..이제서야

제대로 만들었네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이렇게 해야겠죠? List라는 객체의 메소드로

get이라는 것이 어떻게 코딩되어있는지 알필요없이 단지 List.get(i);처럼 쓰기만 하면

되잖아요. 또한 링크드리스트에 데이터를 집어넣을때도 단지 List.put(i*10);처럼 쓰기만

하면 되죠. 사실 이렇게 각각의 클래스를 구분시키는 습관을 가져야 패키지도 만들 수 있고

수정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프로그램 만드는 지름길입니다.

이제는 ChainNode 클래스와 LinkedList 클래스를 다른 프로그램 코딩할때도 그대로

붙여넣기 해서 쓰기만 하면 되겠죠?

저는 이번학기동안 이 부분이 많이 모자랐습니다. 이전에 C 언어만 봤었기에 사실 이렇게

만든다는 것이 쉽지가 안더군요..한학기가 끝나고서야....^^*

자~! 이제 링크드 리스트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이제까지 만든 링크드리스트를 이용한 프로그램은 사실 배열과 효율성이 거의 같습니다.

링크드리스트의 가장 큰 장점은 삽입과 삭제시에 그 수행 시간이 배열보다 훨씬 작다는

것이죠. 예를 들자면

2 3 5 7 9 가 차레로 들어가 있는 배열과 링크드 리스트가 있다고 합시다.

만약 4라는 수를 여기에 넣고자 한다면 (오름차순을 유지하면서)

배열이나 링크드리스트나 모두 2 3 4 5 7 9 순으로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죠?

배열의 경우 4가 5의 자리에 들어가고 5,7,9는 한칸씩 뒤로 밀려서 새롭게 배열이

정렬해야 겠죠? 만약 1 이라는 수가 들어간다면 2부터 모두 한칸씩 밀려나가게 되죠?

얼마나 시간이 많이 걸리겠어요? 하지만 링크드리스트를 이용한다면 이렇게 밀려나가지

않고 해결할수 있답니다. 자~ 밑의 그림을 보세요


이렇게 링크드 리스트가 구성되어 있을 때

4를 데이터로 가지는 노드를 삽입(insert)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되죠


일단 말로 설명을 하죠. 리스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기에 데이터가 4보다 작은 경우

계속 이동을 합니다. 그러면 3 이라는 데이터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죠? 이곳을 current

라고 합시다. current.Link 에는 5의 주소가 있겠죠?

우선 4를 데이터로 가지는 노드를 메모리상에 만듭니다. 다음과 같이

ChainNode temp = new ChainNode(4,null);

그리고 난후 이 노드를 링크드리스트에 삽입해야 하므로

보라색 화살표처럼 링크가 이루어 지면 되겠죠? 여기서 순서가 중요합니다.

temp.Link = current.Link; 해주고 나서

current.Link = temp; 해주야 하는것이죠

만약 반대로 한다면

current.Link = temp; 이것은 괜찮은데

temp.Link = current.Link; current.Link에 temp를 넣었는데 그걸 temp.Link에 넣는다?

말이 안되죠? 만약 이렇게 만든다면 이 리스트는 4가 있는 노드에서 끊임없이

자기자신에게 왔다갔다 하겠죠?

따라서 위의 파란색처럼 해야 합니다. 쉽죠? 이제 그럼 노드 삭제(remove)를 해 봅시다.


여기에서 3를 데이터로 가지는 노드를 없애봅시다.

만약 1 3 5 7 순으로 되어 있는 배열에서 3을 지운다면 5 와 7 이 한칸씩 앞으로

이동시켜야 겠죠? 데이터가 수없이 많이 있는 상태에서 이렇게 앞의 부분을 없애버리면

아무리 좋은 컴퓨터라도 버벅거리겠죠? 따라서 링크드리스트로 간단히 해결합시다


이제 코드를 어떻게 써야 할지 금방 알겠죠?

3이라는 데이터가 있는 노드까지 이동한 후 그곳을 current 라고 합시다. 즉 3이라는

데이터가 있는 노드가 current가 되겠네요... current.Link 에는 현재 5노드(5라는 데이터를

가지는 노드를 그냥 이케 부릅시다. )를 가리키죠. 1노드의 링크에는 3노드가. 그리고

3노드의 링크에는 5노드가 들어있죠? 이것을, 1노드의 링크에는 5노드(3노드의 링크)가

있게만들면 되겠죠? 따라서 current 와 함께 pre 라는 노드를 하나 더 만들어야죠.즉

지울려는 노드 바로 앞 노드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여기선 pre 는 1노드를 뜻하네요.

pre.link = current.link; 해주면 그냥 끝나죠..

자 이게 링크드 리스트의 전부랍니다. 자 그럼 과제 나갑니다.

바로 전 예제를 참고하여 10 , 20, 30 ... 100 까지 들어가있는 노드에서 30노드를

지우고나서 리스트의 처음부터 끝까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상태의 리스트에서 77을 삽입하고 난후(즉 10 . 20 ... 70 77 80 90 100 이런 순으로

되도록!) 리스트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데이터를 출력하여 그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어렵더라도 절대 밑의 소스를 보지 마세요. 어느정도 혼자서 고민과 시행착오를 겪어야

합니다. 저또한 지금 소스를 만들어야겠지만 몇 번의 에러를 맞이할것이며 고민하게

되겠죠..^^ 조금 더 자세히 알려드리자면 먼저번에 만든 예제의 put 메쏘드는

링크드리스트의 마지막부분에 삽입(insert)하는 것이었죠? 근데 이번엔 순서를 따져서

넣어야 하는것이니 put 메쏘드를 없애고 insert 메쏘드를 만들면 되겠죠? remove 메쏘드

또한 만들어야 겠고.. main 이 있는 simple 클래스에서는 그냥 List.insert(숫자) 하던지

List.remove(숫자) 하면 끝이나겠죠? 더 이상의 힌트는 바라지 맙시다. !!

자. 소스를 보여드리죠. 100줄이 조금 넘는데 부담가질 것 없습니다. 각 클래스 하나씩

그리고 클래스에 있는 각 메쏘드를 하나씩 분석하시면 쉽게 알겁니다.

class ChainNode {

int Data;

ChainNode Link;

ChainNode(int d,ChainNode l) {

Data = d;

Link = l;

}

}

class LinkedList {

ChainNode head;

ChainNode current;

int size;

LinkedList() { // 생성자

head = new ChainNode(0,null);

current = new ChainNode(0,null);

size = 0; // 링크드 리스트의 사이즈.

}

boolean isEmpty() { // 링크드리스트가 비워있는지 체크.

if ( size == 0 )

return true; // size가 0 이면 true

else

return false; // 그렇지 않다면 false

}

int get(int index) { // index번째의 Data를 리턴한다.

if ( isEmpty() == true ) {

System.out.print("링크드리스트에 아무 값도 없어요 ");

return -1;

}

else

if ( index > size || index < 1) {

System.out.print("index가 링크드리스트 size를 넘어서거나 1보다 작습니다. ");

return -2;

}

else {

current = head.Link; // index번째로 갈려면 처음에서부터 index번 이동해야 하므로.

// head.Link가 실제 데이터가 있는 맨 처음 노드이므로

for ( int i = 1 ; i < index ; i++ ) {

current = current.Link; // index-1 번 옮겨지고

}

return current.Data; // 거기에 있는 값을 리턴

}

}

void remove(int a) {

if ( isEmpty() == true ) {

System.out.println("아무것도 지울것이 없어요");

}

else {

current = head.Link; // current 를 링크드 리스트의 처음으로 위치시키고..

ChainNode pre = new ChainNode(0,head.Link); // current의 바로 전(pre) 노드를 말합니다.

// 따라서 head.Link를 링크값으로 가지죠..

while( current != null ) {

if ( current.Data == a ) {

pre.Link = current.Link;

current = null;

break; // 할일을 마쳤으니 더이상 while문을 돌릴필요가 없죠,.

}

else {

pre = current;

current = current.Link;

}

}

size--;

}

}

void insert(int a) { // 새로운 노드를 집어넣는다.

if ( isEmpty() == true) { // 아무것도 없을경우

ChainNode temp = new ChainNode(a,null);

current = temp;

head.Link = current; // 방금 만든 노드를 head가 가리키도록 한다.

}

else { // 이미 리스트에 노드가 있다면

current = head.Link;

while( current.Link != null && (current.Link).Data < a ) {

// Data와 a가 같은경우는 없다고 가정

current = current.Link;

}

ChainNode temp = new ChainNode(a,null); // a를 데이터로 가지는 temp노드를 만든후

temp.Link = current.Link;

current.Link = temp;

}

size++; // 추가했으니 당연히 size는 하나씩 증가

}

}

public class Si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nkedList List = new LinkedList();

for ( int i = 1 ; i <= 10 ; i++ ) {

List.insert(i*10); // 데이터 입력

}

List.remove(30); // 30을 지우기

for ( int k = 1 ; !(List.get(k)==-2 || List.get(k) == -1) ; k++) {

System.out.println(List.get(k)); // 30지운 링크드 리스트 출력

}

System.out.println("****************************");

List.insert(77); // 77삽입하기

for ( int m = 1 ; !(List.get(m) == -2 || List.get(m) == -1 ) ; m++ ) {

System.out.println(List.get(m)); // 77삽입한 링크드 리스트 출력

}

}

}

제가 만든 소스를 자기것으로 만들려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링크드리스트에 관해 그 원리를

깨우쳤다면 자기만의 소스를 만드시는 것이 훨씬 더 좋을듯합니다. 표현방법은 수없이

많은데 , 이 소스는 단지 제 생각으로 만든것이니 여러분 각자의 생각에 맞게 만드시길

바라며 단지 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근데 이 소스는 약간의 버그가 있습니다. 만약 리스트의 맨 처음 노드인 10을 지우고자

한다면? 그리고 10보다 작은 수를 넣을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상했던 출력이

나오지 않을 겁니다. 이런 예외적인 사항들에 대해선 나중에 좀 더 실력을 쌓은 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 생각엔 모든 프로그래밍 순서에 있어서 이런저런 예외사항을 생각하지

말고(아주 보편적인 입력값이 오도록) 일단 프로그램을 만든후 하나씩 하나씩

예외사항(특이사항)에 대해 코드를 작성하시는 것이 빨리 쉽게 만드는 방법이 아닐까요?

처음부터 단번에 만들려고 하지말고요... 


출처 : ( semtul79@hanmail.net )




SBS 연중캠페인 착한성장 대한민국 - 리더의 조건

2013년 1월 6일 일요일 저녁에 방영된 리더의 조건 방영 후, 엄청난 관심 속에 이 글을 쓰는 중에도 

리더의 조건에 나왔던 '제니퍼 소프트'에 대한 검색어가 상위(1위)에 위치하고 있다.


호세 무이카 (우르과이 대통령 )

 - 한달 월급 130만원, 전 재산 오래된 차 한대 ('87년산),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 동네 할아버지 처럼 푸근한 인상의 할아버지. 그는 대통령이지만 대통령 궁에서 살지 않고 부인 명의의 오래된 집, 농가에서 살고있다. 많은 것을 소유하는데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은 삶을 살고 싶다고 한다. 게다가 월급 1300만원중 130만원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극빈층을 위한 주택을 짓는데 기부하고 있다고 한다.(플란 전투스) 


타르야 할로넨 ( 핀란드 전 대통령 )

- 지지율 80% ( 퇴임당시 지지율이 이렇게 높은 것은 정말 놀랍다.)

- 우리나라에 방한했을 당시 직접 다림질 한다는 것에 대한 기사가 나온 적이 있다.. 대통령이 직접.

- 핀란드 사람들에게 그녀에 대해 인터뷰를 한 내용을 보면 사람들은 할로넨은 소수의 사람들의 귀를 기울인다는 점. (약한 사람, 가난한 사람, 성적 소수자 등...)

- 리더란 변화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국민이 변화를 만들어 내도록 하는 사람이라는 것

- 복지는 미래에 대한 투자다. ( 학교, 의료서비스, 대학, 유치원 등 이 무료 )


짐 굿나잇 ( SAS 회장 )

- 회사에서 일하는 직원을 보살피는 일이 관리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하다는 점. 직원이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접한다면 정말 발전하게 된다.

- SAS : 14년 간 일하기 좋은 기업 상위권 차지. ( 36년째 흑장)

- 회사내 어린이 보육시설,  직원 개개인을 인정해 준다는 직원의 인터뷰. 

- 마사지실, 미용실, 세차장, 병원 등 직원들을 위한 복지시설 확보, 게다가 그 곳에서 일하는 직원 200명 가량도 모두 정직원.

- '08년 금융위기에서도 전직원에 대한 구조조정(lay off)를 하지 않는다고 말함. 고용유지 정책으로 인해 직원들이 더 열심히 일함.

- 일하면서 가장 큰 혜택은 자신이 어떤 대우를 받을지 매일 알 수 있다는 것.


이원영 ( 제니퍼 소프트 대표 )

- 현재 우리회사에서도 제니퍼 모니터링 사용중...

- 근무시간에 사람들이 자율 적으로 활동 ( 근무시간에 수영하러감..), 키즈룸, 커피숖 등등...모든 복지의 목적은 가정의 행복.

- 채용정보 : http://www.jennifersoft.com/docs/jennifersoft-jobs.html

- 사장실도 없음. 남는 자리 대표가 앉아서 자리 정했음..휴가 가고 싶으면 그냥 가고 싶다고 메일만 쓰면 끝...

- "좀 놀면 안되나요?" - 존경스러운 마인드인 것 같다.. 자율성 속에서 인간이 자신의 역량과 능력을 가장 열정적으로 발휘 할 수 있다고 한다. 공감!


** 정치지도자나 기업의 대표나 먼저 신뢰를 보여주면 구성원도 신뢰를 보여준다. 

** 앞으로의 성장은 무분별한 성장이 아닌 성장과 복지가 알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리더는 이러한 상호의견에 대한 조율을 잘 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시즌 6 까지 방영중인 빅뱅이론 너무나도 즐겨보는 미드 중 하나이며

내 기준에선 지금 껏 봐온 미국 드라마 중에서 가장 재밋는 드라마중 하나라고 생각함.

공식 사이트 주소 : http://www.cbs.com/shows/big_bang_theory/



스토리는 네이버 검색 하면 나오듯이. 괴짜 과학자 (한명은 석사)4명과 옆집에 이사온 페니와 그 외 기타인물들의 재미난 이야기다.

캐릭터 분석은 다른 블로그에도 많이 나오는 것 같으니 생략. 내용은 직접 보면 재밌다. 공대생이면 공감하는 바도 많은 내용이 있다. 나도 공감하는 부분이 많음. ㅋㅋ

그럼 즐거운 감상하시길. ㅎ

기능 확장과 수정에 대한 이야기가 나왓으므로 The Open-closed Principle(OCP)이라는
원칙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 원칙은 Bertrand Meyer가 제시한 것으로 Robert C.Martin이
C++ Report(Jan.1996)에 슨 Engineering Notebook이라는 컬럼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원칙은 클래스 등이
* 확장(extension)에 대해서는 열려(open)있지만
* 수정(modification)에 대해서는 닫혀(closed)있어야 한다.
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클래스를 설계할 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확장을 허용해야 합니다. 이유 없이 확장을
금지해서는 안되며, 이것이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있다.'라는 의미 입니다.

그러나 확장을 할 때마다 기존의 클래스를 수정해야 하는 것도 곤란 합니다. 확장을 해도
기존의 클래스는 수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 ' 수정에 대해서는 닫혀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확장은 대환영이지만 기존의 클래스를 수정해서는 안됩니다. 기존의 클래스를 수정하지 않고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The Open-Closed Principle의 원칙입니다.

클래스에 대한 요구는 빈번하게 변화합니다. 그리고 그 요구는 대부분 '기능을 확장하고 싶은'
경우이므로 클래스가 기능 확장을 할 수 없다면 곤란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미 완성되어
테스트까지 마친 클래스를 수정한다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있고, 수정에 대해서는 닫혀있는 클래스가 부품으로써 재이용 가치가 높은
클래스입니다. 그리고 디자인 패턴의 목적, 오브젝트(객체)지향의 목적이란 바로 이러한 클래스를
만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주석 : The Open-Closed Principle, http://www.objectmentor.com/publication/ocp.pdf
참조 : java언어로 배우는 디자인 패턴 입문 (영진닷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오랜만에 모사이트에 가서 글을 보다가...

 

String과 StringBuffer에 대한 논쟁이 한참 불붙은 것을 보았습니다.

 

글쓴 사람들 보니까 좀 안다는 사람들 모여서 열띤 토론을 벌이더군요.

 

 

간단히 생각하면 될 문제를 복잡하게 생각하니 배가 산으로 갑니다.

 

 

String이나 StringBuffer나 뭘쓰면 어떻습니까... 성능문제는 성능에 문제가 될때만 발생하는 겁니다.

 

물론 성능이 좋을 수록 좋겠지만... 필요이상으로 성능에 집착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제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String이나 StringBuffer나 모두 문자 배열입니다.(char[])

 

 

배열의 특징을 잘아시겠지만, 한번 생성하면 크기를 늘일 수 없어서 크기를 늘이려면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야 합니다.

 

String은 변경할 수 없으니 문자열 결합이 일어날때마다 항상 새로운 배열을 만들고 복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과정은 여유있는 크기의 배열(StringBuffer)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과는 큰 성능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여유있는 크기의 배열을 생성하면, 메모리의 낭비가 있겠죠.(StringBuffer의 단점)

 

또한 아무리 StringBuffer라고 해도 크기를 작게 잡아놓으면 String쓰는거나 별다른게 없을 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크기의 배열을 생성하고 복사해야하므로... 그래도 String보다는 StringBuffer가 낫습니다.)

 

 

그래도... 대부부의 경우, StringBuffer를 사용하는 것이 String을 쓰는 것보다 훨씬 빠릅니다.(문자열 편집에 관한한)

 

일부 경우에서는 String이 StringBuffer보다 빠를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당연하게도 StringBuffer가 빠를 수

 

밖에 없습니다. 배열의 특징이 그렇기 때문이죠.

 

 

한가지 알아야할 것은 String에 대한 +연산을 컴파일러가 StringBuffer로 자동변환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항상 StringBuffer대신 String을 써도 별 문제 없다고 하는 사람이 있지만... 컴파일러의 자동변환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String에 +연산을 사용하는 모든 경우를 커버할 수는 없다는 얘기죠.

 

 

그래서... 웬만하면 문자열 결합에 String을 그냥 사용해도 된다.(컴파일러가 자동변환해서 최적화 해주니까.)

 

성능상의 문제가 되는 경우에만 StringBuffer를 이용해서 최적화한다.

 

모든 곳에 String대신 StringBuffer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떨어지니까...(코드를 읽기 힘들어지니까.)

 

출처 : http://cafe.naver.com/javachobostudy/2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