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초보자를 위한 코틀린(Kotlin) 200제 / 엄민석 지음 | 정보문화사 | 2018년 05월 20일 출간
출처: https://kotlinlang.org/docs/reference/basic-types.html
정수를 저장할수 있는 타입 Int,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Double 타입이외도 더 많은 종류의 타입이 존재.
부동소숫점 방식 Floating Point: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
package com.practice008
// 소실수를 표현하는 방식: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방식
fun main(args: Array<String>): Unit
{
val a: Byte = 125 // Byte타입 변수 선언, Int 타입이지만, Byte범위내라서 ok
val b: Short = (100 + 200) * 100 //Short 타입변수 선언, 소괄호먼저, 범위내 ok
var c: Int = 12_4354_6538 // Int 타입변수 선언, 언더스코어(_)는 숫자를 좀더 알아보기 쉽게표현,
//println(c) // 고대로출력해보면 , 1243546538 나온다
c = 0xFF_88_88 // 변수 c에 담긴 값을 16진수로 인식
c = 0b01010010_01100011_01110101_01000101 // 2진수로 인식
var d: Long = -543_7847_3984_7238_4723 // Long 타입변수 선언, Int값을 넘으면 자동으로 Long타입
c = a + b // Int 타입 = Byte타입+Short타입, 결과는 byte와 short 모두 int 범위내이므로 결과는 Int타입
d = c + 10L // 정수값(정수리터럴)에 L을 붙이면 무조건 Long타입이 된다. 결과값도 long 범위내이므로 long타입
var e: Float = 67.6f // f를 붙이는건 float 타입
val f: Double = 658.4 // Doulbe 선언과 동시에 저장
e = (e + f).toFloat() // e+f를 더하면 Double타입 720.056 이 나오기때문에 float 타입으로 e를 변환
println(e) // 출력 : 726.0, 기존에 저장된 67.6은 지워진다.
}
출력
726.0